1월 카카오T 바이크 전주서 철수, ‘뚜벅이’ 이동수단 사라져 불만 여론
전주시 공영자전거 ‘꽃싱이’, 대여·반납 체계 불편 속 관광지 편중 지적
하지만 市 예산 이유 ‘꽃싱이’ 확충에는 난색, “관광형으로만 운영할 것”
지난 2020년 10월 22일 전주시의원들이 꽃싱이를 타고 현장라이딩을 하고 있다.
최근 철수된 카카오T 바이크 대체 수단으로 전주시 공영자전거 ‘꽃싱이’가 거론되고 있지만 접근성이 떨어져 운영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달 이용자 선호도·상권·인프라·운영 효율성 등을 고려해 전주에서 카카오T 바이크(민간 공유형 전기 자전거)를 철수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대여소 없이 서비스 지역 내 원하는 곳에서 대여·반납할 수 있어 ‘뚜벅이(자동차가 없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걸어 다니는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하지만 한순간에 이동 수단이 사라지면서 전주시민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1997년부터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를 표방하며 자전거 사업을 추진해 온 전주시의 ‘꽃싱이’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전주시는 2013년부터 공영자전거 ‘꽃싱이’를 운영했다. 당시 1개 정류소, 200여 대 자전거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11개 정류소, 404대로 확대됐다.
‘꽃싱이’는 저렴한 이용료를 강점으로 내세워 홍보했다. 이용률의 경우 2020년 9461건, 2021년 1만 5951건, 2022년 2만 1309건, 2023년 2만 2066건, 지난해 2만 8133건 등 최근 5년 동안 꾸준히 증가했다.
하지만 접근성을 비롯한 운영 방식에 대한 지적은 끊이지 않는다.
현재 전주시가 운영하는 꽃싱이 11개 정류소 중 6개는 관광지인 전주 한옥마을 인근에 설치돼 있다. 나머지는 송천동·평화동·삼천동·진북동·우아동 등 각 1개씩만 있다. 특히 대여·반납은 직원이 정류소에 상주하는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2월 기준)까지 가능해 시민들의 이용에 제약이 생겨 카카오T를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크다는 지적이다.
장태연 전북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현재 꽃싱이는 전주천·덕진공원·한옥마을 등 관광지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시민들의 일상적인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기 어려운 구조를 갖춘 것이다”면서 “카카오T 수준으로 활성화되려면 대여·반납 체계를 개선해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뚜벅이’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는 상황인 만큼 전주시가 공영자전거 운영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전주시는 예산 등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꽃싱이는 일상형이 아닌 관광형으로 운영하고 있어 정류소 대부분이 관광지 인근에 배치돼 있다”면서 “카카오T와 같이 일반 시민들이 사용하는 일상형으로 바꾸려면 전체 자전거를 교체하는 등 비용 부담이 크다. 카카오T 철수와 관련해 꽃싱이를 확대할 계획은 없다. 현재 운영 중인 관광형 중심 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부=문채연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