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지난해 12월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경찰들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2024.12.4/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54·경찰대 10기)이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로 임명됐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에 가담한 김봉식 전 서울청장이 구속된 지 두 달여 만이다. 박 신임 직무대리 앞엔 ‘친윤 코드 인사’ 논란과 계엄 사태에 동원된 서울 경찰의 사기 진작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쌓여 있다.
우선 경찰 내부에선 수도 서울의 치안을 총괄하는 서울청장 자리가 두 달여 만에 메워지게 될 이번 경찰 고위직 인사 소식에 반색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그동안 민생 치안은 물론이고, 비상계엄 여파로 인한 시국 치안을 관리할 컨트롤타워가 없었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된 지난달 19일에 발생한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는 서울 경찰에 뼈 아픈 대목이다. 난동 피의자는 100여 명에 이르고, 피해액은 6~7억 원으로 추산된다. 특히, 경찰이 이 사태 하루 전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법원에 무단 진입할 수도 있다고 보고 대응 방안을 마련했던 정황이 드러났음에도 난동 사태를 막지 못했다.
이를 반면교사 삼아 윤 대통령 탄핵심리가 한창인 헌법재판소와 오는 20일 윤 대통령 형사 재판이 시작될 서울중앙지법 앞 등에선 각각 결론이 나오는 시점이 다가올수록 찬반 집회·시회가 격화할 수 있는 만큼 서울 경찰은 시민들의 안전을 사수해야 한다.
그러나 박 직무대리의 임명을 바라보는 시선엔 기대만 있지 않다. 이미 박 직무대리의 치안정감 승진 내정 소식이 전해진 지난 5일 야권에선 ‘경찰 장악을 위한 코드 인사’라며 집중포화에 나섰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과 행정안전부에서 파견 근무한 박 직무대리는 비상계엄이 선포된 작년 12월 3일 국회 봉쇄를 지시했던 조지호 당시 경찰청장을 비롯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임정주 경찰청 경비국장과 통화한 사실로 ‘계엄 연루’ 의혹을 받는 당사자이기 때문이다.
경찰이 다시 이 전 장관의 수사를 맡게 된 시점에 박 직무대리가 조직내 2번째로 높은 계급으로 승진하고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까지 돼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비상계엄 사태에 4000명이 넘는 인원이 동원됨에 따라 추락할 대로 추락한 서울 경찰의 사기를 높일 원동력은 이런 의혹이 해소돼야만 생길 수 있다. 다음 달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이는 서울 경찰의 인사가 수용되려면, 서울 경찰이 올해 새롭게 추진해 나갈 계획들이 힘을 받기 위해서도 마찬가지다.
계엄 사태로 조직이 휘청인 3만 서울 경찰의 수장이 계엄 연루 의혹을 떨쳐내지 못한다면 리더십은 실종되고 조직 안정은 요원해질 것이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