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지난해 아파트 시장에서 서울만 ‘나홀로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타 지역 대부분은 금리 부담과 경기 침체 여파로 침체가 이어졌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매매와 전셋값이 비슷한 수준으로 올랐지만 다른 지역은 상대적으로 침체를 벗어나지 못했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아파트값 변동률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값은 전국적으로 0.07% 올랐다. 직전 2년 아파트값이 연속 하락했다가 상승 전환했지만 보합에 가까운 미미한 상승일 뿐이다.
지난해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5곳뿐이다.
서울 아파트값이 4.67% 올라 가장 오름폭이 컸다. 인천(1.54%), 강원(0.66%), 경기(0.57%), 전북(0.34%) 등도 오르긴 했지만 사실상 서울 아파트 나홀로 상승장이었다.
반면 세종(-6.46%)과 대구(-4.93%)의 매매 가격은 하락률 1, 2위를 기록했고 부산(-2.67%)과 제주(-2.35%), 경남(-1.53%), 광주광역시(-1.36%) 등 지방은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컸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이 끌어올렸고 전세 가격 상승은 주로 노원구 등 비강남권이 견인했다.
성동구는 작년 아파트값이 9.60% 올라 서울 25개 구 가운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재개발 사업 호재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어 서초구(9.34%)와 송파구(8.62%), 강남구(7.39%) 등 강남 3구가 그 뒤를 이었고 마포구(7.22%)와 용산구(7.18%)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다주택자 세금·대출 규제가 지속되자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봉구(0.47%)와 관악구(1.41%), 노원구(1.58%), 강북구(0.93%), 금천구(1.04%), 구로구(1.64%) 등 비강남권의 아파트값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작았다.
그러나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비강남권이 상승을 이끌었다.
성동구가 9.70% 올라 상승률 1위를 차지했고 노원구(7.76%), 영등포구(7.13%), 은평구(6.92%), 용산구(6.15%), 서대문구(6.15%) 등의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이 지역은 매매보다 전세 선호도가 높았다는 의미다.
반면 강동구와 송파구는 지난해 전셋값이 각각 0.73%, 2.75% 오르는 데 그쳐 전셋값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1만2천가구 규모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등 대단지 아파트 입주가 증가해 강남권 전셋값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 기자 [email protected]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