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후백제 수도 역사적 명백
후백제 지정문화유산 검토 필요
후백제 역사 규명 학술대회가 19일 전주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가운데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전주시 제공
전주시가 전주 고도(옛 도읍) 지정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시는 19일 전주역사박물관 강당에서 후백제 도읍으로서 전주의 도시 구조와 체계를 알아보고, 고도 지정 선도 사례를 공유하기 위한 ‘후백제 역사 규명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서기 900년 견훤이 전주를 후백제 수도로 삼으며 37년간 통치했던 역사적 기록과 발굴조사로 확인된 유적·유물을 통해 전주 고도 지정의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는 시간으로 마련됐다.
국가유산청이 지정하는 고도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정치·문화 중심지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곳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는 2004년 제정된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고도육성법)’에 따라 경주, 공주, 부여, 익산, 고령이 고도로 지정됐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진정환 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은 후백제 도읍이었던 전주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분석하며 전주 고도 지정의 당위성에 대해 논했다.
진 실장은 925년 후당과의 조공·책봉 관계 구축, 927년 금성 공략과 공산 전투의 승리, 929년 나주 탈환 등을 예로 들며 “후백제 왕도 전주는 920년대 후반∼930년대 전반 우리 민족의 정치적 중심지였던 것이 명확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후삼국기 불교 미술품을 분석하며 “후백제 문화 형성의 중심지였던 전주는 비록 짧기는 하지만 우리 민족의 문화적 중심지였다”고도 덧붙였다.
또 진 실장은 고도의 역사문화환경과 관련해 “후백제는 전주를 후백제 도읍으로 활용하기 위해 자연적·인공적으로 쌓은 성벽으로 나성을 쌓아 도성을 구축했다”며 “유사시 피난성으로 활용하기 위해 동고산성을 수축하고 외곽 방어를 위해 서고산성, 남고산성, 구억리산성 등을 정비했다. 이러한 점들은 후백제 고도 전주가 고도육성법에서 정의하는 ‘고도의 역사문화환경’을 충분히 갖췄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용희 국가유산청 사무관은 고도 지정 방향성에 대해 소개하며 “후백제 고도를 세계적인 역사도시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고도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통합적으로 맥락적인 역사도시 경관 조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고도 육성사업에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지역 활력을 높이기 위한 고도 이미지 찾기 등 체감도 높은 사업 발굴·시행도 강조했다.
한편 조미순 국가유산청 사무관은 종합토론에서 후백제 관련 지정문화유산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조 사무관은 “후백제 관련 역사문화권 현황조사에 따르면 후백제 역사문화 유적 총 98곳 가운데 26곳이 전주에 있다”며 “전주에 소재한 남고산성(국가지정문화유산)을 포함해 동고산성(기념물)과 전 봉림사지 석조삼존불(유형문화유산) 등의 시·도지정문화유산이 있고, 나머지는 비지정 문화유산으로 실체적 성격 구명이 필요한 유적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전주가 후백제의 수도였다는 점은 역사적으로 명백하며 그 가치와 중요성도 인정받고 있다. 다만 전주에 후백제와 관련된 학술적으로 인정되는 지정문화유산이 풍부한지는 검토가 필요하다”며 “이에 따라 후백제 유적지로 추정되는 궁성, 왕릉, 사찰 등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와 연구가 선행될 때 고도 지정의 타당성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전주시는 ‘전주 고도 지정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결과를 토대로 전북문화유산위원회에 심의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후 도 심의를 통과하면 국가유산청 고도보존중앙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고도 지정이 최종 확정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