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국 단위 조직 신설…청년정책 일원화 목표
2022년 8월 청년이음전주 개소식 모습. 사진=전주시 제공
지역 청년인구 이탈이 가속화되자 전주시가 청년정책 컨트롤타워인 청년정책본부를 신설하기로 했다. 조직개편을 통해 청년정책 의지를 보여주겠다는 것인데 실효성을 거둘지는 미지수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전주시 전체인구 가운데 청년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실제로 전주 청년인구 비율은 2015년 21.75%, 2020년 21.05%, 2024년 20.07%를 기록했다.
전주 청년인구 감소세는 더 가파르다. 청년인구 수는 2015년 14만 1892명, 2020년 13만 8407명, 2024년 12만 7631명이었다. 2015년에서 2020년까지 3485명 감소한 반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1만 776명 줄어들었다.
청년인구 감소 문제가 심각해지자 전주시는 올해 하반기 가칭 청년정책본부 신설을 목표로 관련 행정절차를 밟기로 했다. 과 단위인 청년정책과를 국 단위인 청년정책본부로 격상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시는 이달 안으로 조직개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오는 5월 전주시의회 의결을 거친다는 구상이다. 예정대로라면 오는 7월 청년정책본부가 신설된다.
국 단위인 청년정책본부를 신설하기 위해선 현재 국 단위 조직 1곳을 축소해야 한다. 총액인건비제에 따라 전주시의 조직, 인력 확대는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진선 전주시 청년정책과장은 “청년정책본부 신설을 통해 부서별로 산재된 청년정책을 일원화하고, 청년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현재 내부적으로 타 시·군 사례를 검토하며 업무 범위 등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전주시 청년정책과 예산은 196억 4400만 원으로 지난해 216억 1300만 원보다 19억여 원 축소됐다. 구체적으로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청년 면접정장 대여 지원, 청년 어학시험 응시료 지원, 취업준비 청년 교통비 지원, 군복무 청년 상해보험 가입 지원 등의 예산이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