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가입비·광고비 3無 소상공인 도움
가격 이점 적어⋯재정 지원 등 지속성 과제
출시 3주년을 앞둔 전주시 공공배달앱 ‘전주맛배달’의 성과와 한계가 모두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주맛배달은 중개수수료·가입비·광고비 등 3무(無) 정책으로 소상공인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줬다. 그러나 재정 투입을 통한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언제까지 지속할지 알 수 없는 불확실성 또한 상존한다.
이는 전국적인 현상이다. 공공배달앱을 도입했던 많은 자치단체들이 서비스 중단을 결정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실제로 전국 자치단체 공공배달앱 30여개 가운데 10여개는 운영 중단 상태다.
전주맛배달이 오는 28일 출시 3주년을 맞는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소비자와 가맹점을 위한 기념 이벤트를 전개한다. 소비자와 가맹점이 각각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민간배달앱의 독과점에 맞서 출발한 전주시 공공배달앱 전주맛배달은 중개수수료·가입비·광고비가 없는 3무(無)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전주사랑상품권으로 온라인 결제할 경우 캐시백 혜택(10%)도 적용한다.
이러한 정책에 힘입어 전주맛배달은 2022년 36억 1400만 원, 2023년 48억 1400만 원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그러나 지난해는 33억 4700만 원까지 떨어졌다.
주문 건수도 2022년 17만 2254건, 2023년 21만 8342건을 기록한 뒤 지난해 15만 3011건으로 줄어들었다.
전주맛배달의 한 해 운영비는 2022년 3억 원, 2023년 7억 원, 지난해 4억 원 수준이다. 운영비는 대부분 할인 쿠폰 지원 등의 명목으로 쓰인다. 민간배달앱과 비교해 가격 이점이 적어서다.
이러한 재정 투입을 통한 공공배달앱 활성화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지적도 이전부터 제기된 부분이다. 자치단체 재정 형편에 따라 지원 예산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위해선 할인 쿠폰 지원 등이 필요한데 무작정 예산을 늘릴 수 없는 것도 사실”이라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고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