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탄핵 사태 이어 대통령 체포영장에 서울 곳곳 집회
경찰 추산과 주최 측 추산 인원 100배 가량 차이 나기도
일시점 최대 인원 보는 경찰 vs 누적 인원 다 세는 주최 측
[서울=뉴시스] 자유통일당은 4일 오후 1시부터 광화문 일대에서 탄핵 반대 집회를 열었다.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와 국회 탄핵소추 의결, 윤 대통령 체포영장 발부 등의 여파로 전국 곳곳에서 대규모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대규모 집회가 연일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알려지는 가운데, 같은 집회를 두고도 참여 인원 추산치가 천차만별이라 혼란을 키우고 있다.
실제로 지난 주말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한 시민단체가 진행한 집회를 두고 경찰 비공식 추산과 주최 측 추산 인원이 100배 가량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경찰은 약 3만5000명이 참가한 것으로 봤지만 주최 측은 집회에 300만명이 모였다고 발표했다. 광화문 일대에 인천이나 부산의 인구 수 만큼의 참여자들이 모였다고 주장한 셈이다.
대규모 집회가 주로 열리는 광화문광장 면적은 약 3만4484㎡(1만445평), 세종로공원 면적은 약 8768㎡(2657평)이다. 물리적으로 보면 총 4만3252㎡(1만3083평) 면적에 사람이 극도로 빼곡(1㎡당 10명)하게 들어선다 해도 들어설 수 있는 최대 인원은 약 43만명 수준이다.
경찰의 집회 인원 추산 2017년부터 미공개…경찰, 특정시점 최대 인원 집계
이처럼 집회 추산 인원이 천차만별로 다르거나, 주최 측이 이해하기 어려운 뻥튀기 집계를 내놓는 이유는 뭘까.
이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등에 집회 인원 추산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고, 과거와 달리 경찰이 자체 추산 인원도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명확한 기준이 없다보니 주최 측에서 세를 과시하기 위해 자체적인 기준을 적용하는 영향도 적지 않다.
대규모 집회 시 경찰은 시민단체 간 충돌이나 안전사고 등 돌발상황에 대비해 경비병력을 운용한다. 이같은 차원에서 집회 참여 인원을 자체 추산해 언론에도 이를 공개해왔다.
하지만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 당시 대규모 집회가 빈발하고, 인원 집계를 둘러싼 논란이 일자 경찰은 자체 추산 인원을 언론에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인원 공개가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는 면이 크다는 이유에서였다.
물론 지금도 경찰은 집회 관리를 위해 내부적으로 인원을 추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파악된 인원 숫자가 ‘비공식적’으로 언론을 통해 공개되는 식이다.
경찰은 집회 현장에 참여자들이 가장 많이 모여있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인원을 추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집회 장소의 면적과 단위 면적당 가용 인원을 고려해 인원을 추산하는 방식이다.
통상적으로 1㎡에 사람 6명이 몰리면 밀집한 상태, 8~10명을 넘어서면 극도로 밀집한 상태로 여겨진다. 안전 관리에 초점을 둬야 하는 경찰의 경우 다소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해 3.3㎡(1평)에 성인 6명이 서있을 수 있다고 보고 인원을 추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령 10만㎡의 공간을 가득 메운 집회가 진행될 경우 약 18만명의 인원이 모였다고 추산하는 식이다.
이같은 집계 방법은 비교적 객관적이고 정확한 인원 추산이 가능케 한다. 다만 수시간 동안 진행되는 집회 전체 시간을 반영하지 못하고, 집회에 참여했다가 떠난 사람이 누락될 수 있다는 한계도 있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십자각 일대에서 ‘윤석열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4차 범시민 대행진’ 집회가 열리고 있다. 2024.12.28. [email protected]
‘세력 과시’ 필요한 주최 측은 참가자 누적치 내세워…중복 계산 등 부작용
집회 주최 측은 연인원 집계방식을 주로 활용한다. 집회 참가자 전체 누적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집회 전체 기간 동안 현장을 방문하거나 잠시라도 머물렀던 사람 수를 모두 합산한다.
경찰과 마찬가지로 주최 측도 정확한 인원 집계가 어려울 경우에는 집회 면적을 기준으로 대략적인 추산치를 잡게 된다. 다만 주최 측은 보수적 기준을 적용하는 경찰보다 단위 면적당 인원을 의도적으로 더 넓게 잡을 가능성이 있다. 경찰이 3.3㎡당 6명으로 계산한다면, 주최 측은 1㎡당 6명으로 잡는 식으로 인원을 더 부풀릴 수 있는 셈이다.
이같은 누적 집계 방식은 집회 전체 기간 동안 참가자의 흐름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집회 참가 인원을 과장하는 문제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같은 사람이 집회 장소에 여러번 오간 것이 중복 계산될 수 있고, 집회 참가자가 아닌데도 집회 장소를 지나갔다는 이유만으로 계산에 포함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시민단체 측에서 광화문 광장에만 수백만명 단위의 인원이 모였다고 주장하는 것도 인원 추산 과정에서 이같은 계산 방식을 적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주최 측의 입장에서는 집회의 성공을 강조하고 세를 과시하기 위한 목적에서라도 이같은 누적 계산 방식을 애용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있다.
최근 서울에서 대규모 집회를 주최해온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저희 입장에서는 되려 경찰 추산이라는 수치를 믿기가 더 어렵다. 많은 이들이 모인 것을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 정도”라며 “수십만, 수백만이 모이는 것이 말도 안된다는 의견도 있는데, 광화문 광장 등 뿐만 아니라 인근 다른 장소에 오시거나 골목마다 차있는 분들을 다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한 숫자”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처럼 명확한 집계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는 보다 정확한 인원 집계와 안전 관리를 위해 ‘과학기술기반 군중밀집관리 기술 개발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폐쇄회로(CC)TV, CPS, GPS, 대중교통 등의 다층적 데이터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집회 등 군중밀집 현장에서 보다 정량적·과학적 분석을 진행한다는 목표다.
한편 법원의 윤 대통령 체포영장 발부 이후 영장 집행 여부가 가장 큰 화두가 되면서 최근에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가 핵심 집회 장소가 되고 있다. 다만 이번 주말에도 광화문을 비롯한 서울 도심 곳곳에서 퇴진비상행동 및 자유통일당, 신자유연대 등 수만명이 주최하는 집회와 행진이 진행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