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와 주택 모습. 2025.1.16/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서울 아파트 가격이 5주만에 보합(0.00%)을 멈추고 상승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부 지역 위주로만 가파른 상승이 발생하고, 여전히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어 추세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한국부동산원 2월 1주(3일 기준) 주간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직전 조사 주 대비 평균 0.02% 오르면서 지난해 12월 4주 이래 5주 만에 보합에서 상승전환했다.
송파(0.09%→0.13%), 서초(0.03%→0.06%), 강남(0.01%→0.03%)의 강남 3구에서 상승폭을 키웠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종로, 동대문, 서대문 등 7개 구에서 하락이 중단됐다. 종로구와 서대문구는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했고 동대문구, 도봉구 등에서는 하락에서 보합으로 바뀌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대출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돼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재건축 단지 시세가 오르면서 서울 전체가 상승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언도 강남 3구의 상승폭을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오 시장의 발언 후 강남 압구정동, 송파구 잠실동 등 대표 재건축 추진 단지 아파트 가격에서 신고가 거래가 나왔다.
서울 아파트 가격 지역별 편차 커…대세상승 진입 해석 힘들어
전문가들은 강남 3구의 상급지에서 최근 최고가 거래가 나오면서 서울 전체 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봤지만, 여전히 지역별 차이가 있어 대세상승으로 보기는 힘들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월 1주 서울 아파트 가격에서 노원구(-0.03%)와 강북구(-0.01%)는 6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금천구(-0.01%)와 구로구(-0.01%)는 7주 연속 하락했고, 강동구는 직전 조사 주 대비 0.03% 하락하면서 하락폭을 키웠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현재 서울은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예년에 비해 매우 줄었다”며 “이런 상황 속에서 일부 인기 지역에서는 거래가 계속 일어나서 상승을 주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어떤 지역에서는 거래 자체가 발생하지 않거나 미미하게 발생해 이번 상승을 대세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슈로 기대감이 팽배해진 일부 지역에서는 저조한 거래속에서도 비싼 가격의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며 “강남 중심의 가격 상승이 서울 변동률을 상승 전환으로 만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기 있는 지역의 한강변에 위치한 아파트는 가격 조정이 크게 되지 않아 매도자 입장에서도 공급 희소성이나 더 오르기를 바라면서 버티는 입장”이라며 “이런 지역에 재건축이나 신축 호재가 있으면 매물이 줄면서 가격 상승이 발생한다”고 부연했다.
또 “서울 전역에 가격 상승 분위기가 퍼지거나실거래량이 받쳐주면서 상승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니라서 좀 더 시장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거래량은 시장의 힘이자 연료라는 말이 있는데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집을 사려는 수요자가 많다는 것이고, 지금처럼 격감할 때는 관망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시장 회복의 향배는 거래량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대구 앞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대구 도심 전경. 2024.11.21/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지방 아파트 가격 36주 연속 하락…양도세 면제 등 대책 필요
지방 아파트 가격은 0.06% 하락하면서 36주 연속 하락을 이어갔다. 부산(-0.06%), 인천(-0.08%), 대구(-0.21%), 대전(-0.07%), 광주(-0.03%) 등의 광역시에서도 하락이 이어졌다.
지방 아파트 가격 하락의 중심에는 악성 미분양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도세 전액 면제 등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1480가구고 이 중 약 80%인 1만 7229가구가 지방에 쏠려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은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의 80%가량이 지방에 고정적으로 나타나는 만큼 예전에 시행했던 5년 양도세 면제 정책을 다시 시행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지난 2008년 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전국에 미분양 아파트가 쌓이자, 미분양 주택을 취득한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한시 감면(5년)을 2009년부터 시행한 바 있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