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을 앞둔 지난 달 2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청사 주차장이 차량들로 가득 찬 모습. ⓒ News1 권현진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서울시는 지난해 말 기준 관내 자동차 등록 대수가 317만 6933대로 전년 대비 1만 4229대(0.45%) 감소했다고 3일 밝혔다. 전국 등록대수가 1.34% 증가한 가운데 지자체 가운데 서울시만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의 인구 대비 자동차수도 2.94명당 1대(전국평균 1.95명)로 전국 최저수준이었다. 시는 청년층 자가용 수요 감소, 고령층 면허 반납, 편리한 서울의 대중교통 인프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자치구 별로는 강남구가 25만 4871대로 등록 차량이 가장 많았고 이어 △송파구(24만 2897대) △강서구(20만 3720대) △서초구(17만 7348대) △강동구(16만 983대) 순이었다. 상위 5개 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32.73%에 달했다.
자동차 등록 대비 인구수로는 강남구가 2.19명당 1대, 중구와 서초구가 각각 2.3명당 1대, 동작구 3.54명당 1대, 강북구 3.85명당 1대, 관악구 4.09명 당 1대였다.
관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는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25.24%), 전기(14.99%), 수소(2.74%) 등 친환경 차량은 전년 대비 총 6만 4019대 증가하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전기차는 충전소 등 인프라 확대로 2023년 7만 2000대였으나 지난해 8만 3000대를 넘어섰고 하이브리드 차량도 지난해 26만 대를 돌파했다.
반면 경유차(5만 9257대), LPG차(2317대), CNG차(662대)는 모두 전년 대비 줄었다.
한편 전체 관내 등록차량 가운데 21.78%가 외국산 차량이었다. 승용차만 따지면 전체 승용차 4대 중 1대(24.51%)가 외국산이었다. 자치구별로 강남구(10만 5902대), 서초구(6만 7287대), 송파구(6만 3222대) 등 순으로 외국 차가 많았다.
자동차 등록자 성별은 남성 63.13%, 여성 22.83%였다. 연령별로는 40대 이하는 3만 2655대 감소한 반면 50대 이상은 2만 9242대 증가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1년만에 친환경차 등록 증가, 60대 이상 연령대 자동차보유 증가 등 다양한 변화가 일어난 것을 봤을 때 교통정책과 산업 요인에 따라 자동차 수요 흐름도 함께 변화 양상을 띠는 것으로 보인다”며 “분석 결과를 자동차 수요관리 및 대중교통 교통체계 수립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