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 element.0절기상 입춘인 3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시민들이 보행신호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주 최저기온이 영하 13도까지 내려가는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서울시가 ‘동파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서울시는 4일 오전 9시부터 6일 저녁 6시까지 수도계량기 ‘동파 경계’ 단계를 발령한다고 3일 밝혔다. 동파 경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의 동파예보제 가운데 3단계에 해당하고, 이틀 이상 일 최저 기온이 영하 10도 미만으로 지속할 때 발령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15일부터 현재까지 수도계량기 동파 건수가 838건 발생했으며, 그중 60%인 499건이 1월 동파 경계 발령 전후 5일(1월9~13일)동안 발생했다고 밝혔다.
영하 10도 이하의 기온이 이틀 이상 지속하면 계량기함을 수건으로 감는 등 보온을 했더라도, 동파 발생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외출할 때 수돗물을 약하게 틀어 계량기 안에 물이 지속해서 흐르도록 해야 한다.
‘졸졸졸’ 틀어두는 수돗물의 양도 중요한데, 일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미만일 때는 30초에 일회용 종이컵 한 컵을 채울 정도여야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10시간동안 이런 방식으로 물을 흘려보낼 경우, 가정용 기준 수도요금 300원 미만이 나온다.
수도계량기 유리가 깨지거나 부풀어 오르는 등 동파가 의심될 때는 서울아리수본부 카카오톡채널에서 상수도 민원상담 챗봇 ‘아리수톡’이나 120다산콜센터, 관할 수도사업소로 신고하면 된다.
한편, 3일 밤 9시를 기해 서울 동북권에 올해 첫 한파경보가, 나머지 지역(동남권‧서남권‧서북권)에는 한파주의보가 발효된다.
한파경보는 아침 최저기온이 이틀 이상 -15도 이하로 지속되거나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발효된다.
서울 중구청사 안에 마련된 한파응급대피소. 중구 제공
이에 서울시는 한파 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고 자치구·유관기관과 협력해 24시간 상황관리체계에 돌입했다.
이번 특보 기간에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청사에서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운영되던 한파 쉼터가 24시간 개방하는 ‘한파 응급대피소’로 확대 운영된다. 자치구별로 난방기, 침낭, 담요 등 난방용품을 구비했다.
장수경 기자 [email protected]